- 글번호
- 398446
식물자원학과,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생, 국제학술지에 연구 성과 게재- 목이버섯 락케이즈(Laccase) 단백질 구조 규명
- 작성자
- 홍보센터
- 조회수
- 5674
- 등록일
- 2024.12.03
- 수정일
- 2024.12.03
국립공주대학교(총장 임경호) 대학원 식물자원학과 응용생물학실험실의 석사과정 김정헌 대학원생(지도교수 장명준)이 국제 저명 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IF: 4.9)에 연구 논문을 게재하며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았다.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는 생화학, 분자 및 세포 생물학, 분자 생물물리학, 분자 의학 등 분자 연구와 관련된 폭넓은 주제를 다루는 권위 있는 학술지로, 호주 식물과학학회(ASPS), 유럽 칼슘학회(ECS), 스페인 세포생물학학회(SEBC) 등 다양한 국제 학회와 제휴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목이버섯의 락케이즈 식별 및 AlphaFold를 활용한 구조 예측”을 주제로, 백색부후균으로 알려진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judae)에서 7개의 락케이즈 유전자(AaLac1 ~ AaLac7)를 확인했다. 이어 구글 딥마인드의 AlphaFold를 활용해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만으로 3차원 구조를 예측하고, 세계 최초로 목이버섯 락케이즈 단백질의 구조를 규명하는 성과를 거뒀다.
김정헌 대학원생은 “장명준 지도교수님과 박윤진 박사님의 지속적인 지도와 격려 덕분에 이번 연구를 완성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다양한 생물학 분야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연구를 이어가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식물자원학과 장명준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를 계기로 대학원생들과 함께 생물학 분야의 AI 활용 연구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목이버섯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립공주대 식물자원학과는 국립대학 육성사업, 농정원(농대 미래전문농업경영인과정, 농업 융복합인재양성과정, 첨단기술 공동실습장)의 특성화사업과 농업인 및 직장인의 귀농·귀촌 준비를 위한 선취업 후 진학 및 성인학습자 주말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첨부파일